최근 책으로도 출간된 만큼 사회 전반에 진출한 90년 생 들에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어리게만 느껴졌던 앞자리 '9' 생들이 사회에 진출하면서 기존의 7~80년 생들의 적잖이 놀라지 않은 후기(?)들이 간간히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우리 신입사원 좀 보세요', '당돌한 신입사원' 등등.
사실 이런 후기들은 90년 생들 뿐만이 아니라 그 전부타 세대가 교체할 때마다 일련의 행사처럼 올라오는 부분이지만, 왜 사회는 특히 90년 생들에게 더욱 관심을 보이는 걸까?
나는 시중에 발간 되어있는 90년 생들에 대한 책을 읽지 않았으니, 그 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써볼까 한다.

해당 설문조사처럼 꽤 솔직하고 적극적인 의사표현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인 듯하다.
내가 경험 한 회사 내의 90년 생들은 직급에 관계없이 자신만의 색과 당당함이 묻어있다.
90년 생들의 대부분은 그 앞 세대에 비해 아쉽지 않은 교육과 풍족한 가정환경에서 자란 세대이다(물론 모두기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자신이 원하는 것과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말하는 것에 익숙해 져 있기 때문에 직급에 관계없이 자신의 의견 또한 자유롭게 얘기하는게 그들에게 있어 이상할 게 없는 부분이다.
직급이 높은 사람에게 무조건 예의바르게 행동해 왔던 앞 세대들에게는 익숙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에서 그들을 이해하지 못하고 오히려 나무란다면 소위 말하는 꼰대라는 소리를 듣게 되는 것이라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 앞 세대들의 문화에서 90년 생들의 자유분방함을 이해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90년 생들을 이해하려 하지말고 그들의 행동에 의미부여를 하지말고 그냥 있는 그대로 바라봐 주는 것.'
그동안 느낀 경험에서 내린 결론이다.
이해가 되지 않는 다면 있는 그대로 바라봐 주는 것이 서로 융화되고 조화롭게 지낼 수 있는 방법이 아닐 까 한다.
물론 게 중에 너무 당돌한 어린 직원들을 대처하는 방법에 어려움을 느낄 수도 있겠지만, 있는 그대로 바라봐 준다면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에서 오는 피로도는 그나마 적어지게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그래도 어렵긴 매한가지 이지만... 어쩌겠는가. 이미 90년 생들은 끊임없이 사회에 진출하고 있는 것을.
'일상 그리고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54. 서울숲 주변 공영주차장 (0) | 2020.09.26 |
---|---|
#53. 우울함을 버리고 자존감을 높이는 나만의 방법. (0) | 2020.09.25 |
#50. GS편의점 반값택배 이용 방법 (0) | 2020.09.21 |
#47. 긱 경제와 평생 직업의 사이 (0) | 2020.09.15 |
#46.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완화 시행 (0) | 2020.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