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과 직결되는 업무를 담당하기 시작하면서 지난 마케팅 수업 때, 흥미롭게 들었던 이론이 생각났다.
바로 “롱테일법칙” 이다.
롱테일 법칙이란 다수의 80%가 핵심의 20%보다 뛰어난 가치를 창출한다는 이론이다.
아래 그래프처럼, 동물의 꼬리처럼 얇고 길게 보이기 때문에 롱테일(긴꼬리) 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사실, 예전 기존 오프라인 시장에서는 롱테일 법칙이 아니라 파레토 법칙이 적용 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파레토 법칙이란, 핵심의 20%에 의해 결과의 80%가 생산된다는 이론으로 상위 20%에 집중하는 이론이다.
예를 들어, 백화점은 상위 20%의 VIP에서 매출의 80% 이상이 발생한다고 한다. 백화점 입장에서는 VIP 매출에 집중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장소가 한정적인 일반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매출 상위를 차지하는 제품들을 가장 앞쪽으로 디피하여 고객들이 쉽게 찾을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온라인 쇼핑이 가능해지고, 그 비율이 커지면서 온라인 속에서는 파레토 법칙은 오프라인만큼 크게 작용 하지 않는다.
무한한 장소를 제공하는 온라인에서는 매출 하위 80%에 해당하는 제품도 지속적으로 노출이 가능해지면서 비인기 제품에서도 꾸준히 매출이 발생하면서 상위 20%에 맞먹는 이익을 발생시킨다고 한다.
가장 많이 알려진 롱테일 법칙의 예로는 아마존이 알려져있다.
온라인 서점으로 시작한 아마존은 비인기 서적을 제한된 장소인 오프라인이 아닌 온라인이라는 무한한 장소에서 꾸준히 노출할 수 있게 되면서 재고의 부담이 아니라 비인기 서적으로부터 또 다른 매출 확보를 할 수 있게 되었다.
"티끌 모아 태산"이라는 속담이 롱테일 법칙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속담이 아닐까 한다.
상위 20%가 아닌 하위 80%에 집중해도 상위 20%에 달하는 매출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은 아마존 서점에서부터 증명되었다.
아마존도 처음부터 큰 기업이었던 것은 아니었다. 온라인 생태계를 잘 파악하고 잘 이용하면서 지금의 거대 공룡으로 성장하였다.
처음부터 큰 결과를 노리는 것이 아니라, 작은 매출에 집중하면서 큰 매출을 발생시키는 것이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이 아닐까 한다.
'일상 그리고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61. 2020년 단풍 절정시기 확인하는 법 (0) | 2020.10.04 |
---|---|
#59. 전국 등산 탐방로 개방 현황 확인 방법 (0) | 2020.10.01 |
#56. Z세대 (Z generation) 특징과 이해하는 방식 (0) | 2020.09.28 |
#54. 서울숲 주변 공영주차장 (0) | 2020.09.26 |
#53. 우울함을 버리고 자존감을 높이는 나만의 방법. (0) | 2020.09.25 |